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전도체 도대체 그게 뭐길래?

by 웃음의나라 2023. 8. 16.
반응형

초전도체란?

특정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인 "초전도"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은 특정 임계 온도인 "초전도 전이 온도"이하에서는 전기 전류가 전혀 저항없이 흐를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1911년에 네덜란드 헤이크 캠링아 온데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특성은 저항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전류가 흐를때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이 없어지므로 초전도체는 전기 전송이나 자기 고밀도 저장장치 등의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전도체를 이용하는 데에는 저온 상태가 필요하는 점이 주요한 제약 사항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초전도체는 매우 낮은 온도, 일반적으로 액체 헬륨 온도 이하에서만 초전도 현상을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냉각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전도체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수 있는데 이를 테면 자기 고밀도 저장 장치인 초전도자석은 고속 철도나 고에너지 입자 가속기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초전도체를 활용한 전력 전송 시스템은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어 더 효율적인 전력 전송을 가능케 합니다.

높은 온도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고온 초전도체의 발견을 계속해서 연구하고 있으며 냉각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드는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어 더 넓은 응용 분야에서 초전도체의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초전도체의 특징

첫번째로 전기저항이 없다는 것입니다.

초전도체의 일정 온도인 "임계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지는데 이것은 전류가 흐를 때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음을 의미하며 전기 회로나 소자의 효율성을 향상 시킵니다.

둘째! 메기네틱 효과

자기장 속에서 측정한 방향으로 메기네틱한 효과를 나타내는 초전도체는 자기장 내에서 정해진 경로로 전류가 흐르게 하여 초전도체 주변의 자기장을 포함한 메기네틱 상호작용을 제어하거나 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셋째! 영구적

특정 온도 범위에서 내에서 전기적 특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됩니다. 

하지만 단점은 냉각 상태에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넷째!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배제함

초전도체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은 경우 자기장을 배제하여 자기장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자기 공학 분야에서도 응용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온도에 민감함

보통 매우 낮은 온도에서 나타나며 일부 초전도체는 액체 헬륨의 온도 범위에서 작동하고,다른 것들은 액소젠으로 냉각해야만 초전도 특성이 나타납니다.

여섯번째 타입I와 타입II 

일반적으로 두 타입으로 분류가 되는데 타입I는 낮은 자기장에서 뛰어난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고, 타입II은 상대적으로 높은 자기장에서 초전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일곱번째 다양한 응용분야

초전도체는 자기 공학,의료 영상 촬영(MRI),전력 전송,고속열핵 실험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초전도체를 활용한 다양한 분야

1)자기공명 이미지= 의료 영상 촬영(MRI)

강력한 자기장을 사용하여 인체 내부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이때 초전도체를 사용하여 강력한 자기장을 생상하여 사용 

2)전력 전송과 저장 

전기 저항 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을 전송할 때 에너지 손실이 거의 없으며 이를 활용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개발 되고 있습니다.

3)자기 부력 기반 운동 수단

자기 부력 기반의 운송 수단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단은 마그레브 열차나 부력을 이용한 자동차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4)양자 컴퓨팅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초전도체는 양자 비트의 구형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초전도체 기술을 활용하여 양자 상태를 조작하고 양자 컴퓨터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 중

5)센서와 감지기 

초전도체를 자기장,온도,압력 등을 감지하는 민감한 센서나 감지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6)과학 연구 

물리학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초전도체는 양자 역학과 물질의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모합니다. 

                                                                                                                                                                                   

반응형

댓글